top of page

[정신과 진료 비용이 무료?!] 정신과 진료비 전액 지원받는 방법 | 정신과 상담비용 | 약값 | 입원비 | 초진 비용


오늘은 국가에서 지원하는 '정신과 외래 진료비 및 입원비' 관련해서 우리가 누릴 수 있는 경제적 혜택은 무엇이 있는 지 샅샅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​ 일단 정신과 치료비 지원의 경우,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어요.첫째, 보건복지부에서 치료비를 지원하는 '전국민 대상' 기본 지원 사업 둘째, 각 시/도 차원에서 자체 예산으로 추가로 운영하는 지원 사업일단 첫번째, 보건복지부에서 전국민 대상 치료비를 지원하는 사업의 경우, 총 3가지 유형의 치료비를 지원하고 있는데요. 1) 자/타해 위험으로 응급입원이나 행정입원을 하게 되었을 시 소득, 입원 횟수 무관 연 450만원까지 지원 2) 발병 초기 정신질환 외래 치료비 5년 간 지원 : 중위 소득 80% 이하 ※ 지원 대상 진단명 : 조현병, 분열 및 망상장애(F20-29), 기분(정동)장애(F30-39) 3) 외래 치료비 지원 : 외래 치료에 대한 행정명령을 받은 자 & 중위 소득 80% 이하 즉,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사업의 경우 위 3가지 조건 중 하나에 부합해야 하는데, 이 중 그나마 해당이 되실 수 있는 게 2)번 항목 입니다. 중위 소득 80% 이하라면, 5년 간 외래 치료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것이죠. ※ 보건복지부 정신과 치료비 지원사업 자세히 보기

https://blutouch.net/service/medical/cost


※ 2023 중위소득 80% 기준




자, 이제 각 시/도에서 보건복지부와 별개로 지원하고 있는 '정신과 진료비 지원 사업'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 ★지원 대상 및 지원 규모가 가장 큰 곳 : 경기도 : 경기도민이라면, 경기도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아주 규모가 큰 진료비 지원사업이니 귀찮아도 꼭 신청하셔서 경제적 지원을 받으시길 바랍니다. (서울은 이렇게 지원을 안해줘요 ㅠㅠ) ​ 경기도 정신과 진료비 지원사업 ★3줄 요약★

  1. 모든 경기도민은 소득 관계 없이 정신과 초진 진료비, 검사비 최대 40만원까지 지원

  2. 경기도에 사는 청년은 연 36만원까지 정신과 외래 치료비를 지원 (만 19세-34세)

  3. 만 65세 이상인 경우 기분장애(F32~39)에 한해 외래 치료비 연 36만원까지 지원

※ (1, 3번에 해당 안 될 경우) 중위소득 120% 이하의 사람들은 외래 치료비 연 36만원까지 지원





경기도민이라면 '정신과 치료비 지원'에 대해 아래 사이트에서 ☞ 중위 소득 확인하기 ☞ 내가 지원 대상이 맞는지 '모의 확인' 하기 ☞ 신청 기관 및 신청하는 방법 ☞ 지원 사항에 대한 각종 Q&A 에 대해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https://xn--939a1gwh26c99m45h9jkvij08li7d.kr/main/maumcare/main.asp



이렇게 경기도민이라면 정신과 외래 치료비를 연 36만원까지 지원받을 수가 있는데요. 28일에 한 번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해 약을 탄다고 했을 때 외래 진료비가 2~3만원 수준으로 나오게 되는데 연 36만원 지원이니 한 해 정신과 외래 진료비를 대부분 지원받는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. ​ 그럼 서울시는 어떨까요?안타깝게도 서울시는 경기도와 달리 서울시 전체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과 진료비 지원 사업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. 다만 자치구별로 구 예산으로 운영하는 사업들이 일부 있는데요, 지원사업이라고 하기엔 경기도와 비교해 많이 열악한 수준입니다.



예를 들어, 강남구의 경우에는 '서울시 강남구 마음건강검진 및 상담지원사업'이라고 하여 협력을 맺은 개인 정신건강의학과(25개소)에서 3회의 정신과 상담 진료비를 지원하고 있어요. 마음이 힘든 경우 정신과에 가서 간단한 검진도 받아보고 정신과 의사와 면담을 해보라는 취지인데요, 약값 지원은 또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. ​ 병원비 걱정하지 말고, 마음이 힘들면 일단 정신과에 가봐라 라는 취지인 것 같은데, 약값은 또 지원이 안되고 진료비(의사 면담비죠) 3회 지원(총 다해도 3-5만원 수준일 듯)은 참 지원이라고 하기에도 민망한 지원사업인 것 같습니다.





​ 자치구별로 진행하는 사업은 각 구의 '정신건강복지센터' 사이트에 가서 확인할 수가 있는데요, 현재 확인해본 결과 '정신과 외래 치료비'에 관한 지원은 서울 자치구들에서는 대부분 진행은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이네요. ​ 서울시는 경기도처럼 '정신과 외래 치료비'를 지원하지는 않지만, 청년 심리 지원 사업 등 '심리 상담' 관련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예산을 투자해 진행하고 있으니 아래 포스팅도 읽어보시고 적극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!

https://blog.naver.com/jangeunha_linda/222742746584


비슷한 아픔과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연대하고 위로하는 커뮤니티,

이들과 연결되어 소통하고 싶다면 네이버 카페 <코코넛 커뮤니티>에 방문해보세요!

https://cafe.naver.com/mentalhealthkorea




조회수 1회댓글 0개
bottom of pag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