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p of page

자살을 막는 대화의 기술 | 자살 신호를 보내는 사람의 마음을 여는 말 | 절대 해서는 안 되는 말


2021년 기준, 코로나 19로 인한 사망자 수는 5,030명 자살 사망자 수는 코로나 사망자 수의 2배가 넘는 13,352명에 달했습니다. 매일 하루에 36.6명이 자살로 사망하고 있는 것인데요. ​ 우리나라는 15년 연속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가지고 있는 나라임에도 '자살 예방'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투자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정말 미미한 수준입니다. ​ "탕탕탕!!, 문 여세요!! 안에 계시는 거 다 알아요." "문 계속 안 여시면, 우리 문 부시고, 강제로 문 열겁니다." "문 열어주셔야 우리 철수할 수 있어요." "빨리 문만 좀 열어주세요. 안전한 지 확인만 할게요." 작년에 제가 실제로 겪은 일입니다. 제 지인의 자살 예고로, 저는 바로 112와 119에 신고를 했고, 지인의 집으로 40여명의 경찰관과 소방관들이 출동했습니다. 가장 큰 소방차도 4-5대나 함께 왔습니다.



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출동했냐 물으니, 자살 (위기) 신고는 신고들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, 위급한 상황이라 경찰서, 소방서 팀장부터 관계자 모두가 총출동해야 하는 신고라고 말했습니다. ​ 이때 처음 알았습니다. 자살 위기 신고만 하더라도,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출동하게 되는구나... ​ 그런데 그렇게 출동한 경찰과 소방관들이 자살 시도자에게 대하는 태도는 저를 또 한 번 놀라게 했습니다. 범죄자 잡으러 온 줄 알았습니다. ​ 엄청나게 큰 소리로 문을 쾅쾅 몇 분이고 계속 두드리면서, '당장 문 여세요. 문 안 열면 문 부실거예요'고 말했죠. 그 층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문을 열고 그 상황을 지켜봐야 했습니다. ​ 자살 시도 중재 협상이란 말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? 이는 말 그대로 자살을 시도하려는 사람에게 자살하지 않도록 설득하는 협상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. ​ 우리나라에서는 자살시도 현장에 응급 출동하는 소방관, 경찰관이죠, 이런 현장대응 인력의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데요. (그런데 아직도 현장에서 잘 안 되는 것보면 이 교육은 일부에게만 일회적으로 진행되는 것 같아요.) ​ 1분 1초가 중요한 자살시도 현장에서 자살을 막기 위해 중재하는 현장 인력의 대화 기술과 위기 대응 능력은 자살률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. 한 번 자살을 시도한 사람은 이후 또 다시 자살을 시도할 확률이 8배 이상 높아진다고 하죠. ​ 자살 위기로 현장에 출동했을 때 아주 짧게는 5분, 길게는 몇 시간도 자살 시도자와 현장 출동 인력이 대치를 하게 되는데, 이때에 경찰이 마치 '범죄자'를 잡으러 온 것처럼 강압적이고 폭력적으로 자살 시도자를 대하는 태도는 그 날 이후 자살 생존자에게 엄청난 트라우마와 고통을 남기게 됩니다. 따라서 현장 대응 인력의 협상 능력은 그날 이후에도 한 사람의 자살 위험성 증가 또는 완화에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도의 민감성과 준비 자세가 요구되는 것입니다. ​ 그러나 이는 비단 현장에 출동하는 전문 인력들 뿐 아니라 우리 주변에 누군가가 자살 신호를 보냈을 때, 자살 예고를 했을 때, 그들을 살리기 위해 우리 모두 이 '자살 시도 중재 협상'이란 것을 배우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. 나의 소중한 사람, 가까운 사람들이 자살 시도를 하려고 하면, 이는 혼자서는 정말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일 뿐만 아니라, 그 이야기를 들은 당사자는 막중한 책임감과 부담감을 느끼게 됩니다. 그래서 일단 그 상황을 말리기 위해, 그 상황을 빨리 종료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말, 물리력, 조치들을 쓰려고 합니다. ​ 그러나 이때 자살 시도자의 마음을 더욱 굳게 닫게 하는 말들이 있습니다. 현장에 출동한 전문 인력들도 여전히 많이 쓰는 말이자, 자살 시도자의 가족들 역시 그 옆에서 이 말들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. 위기 협상 시 금기어 3가지 입니다. 이런 말 하면 그 누구라도 절대 문 열고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. ​ 1.진정하세요 "일단 진정하시고요.." "화 내지 마시고요. 아잇 욕을 하면 어떡하십니까" "아실만한 분이 왜 그러세요." 2.이해한다니까요 "다 이해해요, 알았으니까 빨리 문만 열어주세요." "미안해, 알았으니까 일단 문 열고 이야기해." 3.일단 나오세요(내려오세요) "위험하니까 일단 나오세요." "문을 열어주셔서 저희가 갈 수 있어요. 그니까 문만 살짝 열어주세요."



이 금기는 어떻게 바꿔 말할 수 있을까요? 자살 시도자의 마음을 돌리는 마법의 말은 바로 이 3가지 입니다. 앞서 기억할 것은 '빨리' 이 상황을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, 상대방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말하는 것입니다. 1.진정하세요 →엄청 화가 나 보이세요, 많이 힘들고 지쳐보이세요. ▶내가 보고, 들리는 그대로 이야기하는 것입니다. "엄청 화가 많이 나 보이세요."라고 말하면, 상대는 화가 당장 누그러들진 않더라도 적어도 화를 더 올리진 않게 되는 것이죠. 상대가 나의 화난 감정을 알고, 인정했다는 것이니까요. 그런데 "진정하세요" 라고 말하다면? 상대는 '이 사람이 내가 얼마나 화났는 지 몰라? 그럼 상대방에게 확실하게 내가 화난 걸 알려줘야겠군.'이라고 생각을 하게 되고, 더욱 더 화를 크게 내게 되는 것입니다. 2.이해한다니까요 →듣고 싶어요 ▶"이해한다니까요"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기분이신가요? '니가 뭘 이해해?'라는 생각과 함께 굉장히 나에 대해 진정성 없고 영혼이 없게 느껴집니다. 그것보다는 "엄청 화가 나 보이시는데, 어떤 일이 있으셨는 지 제가 궁금하고 듣고 싶어요."라고 말하면 어떨까요. 내 이야기를 들을 준비가 되어있다고 느껴지지 않으시나요. 3.일단 나오세요 →무슨 일이 있으셨나요? "무슨 일이 있으셨는데 이리 화가 나 보이시는지 제가 궁금하고 듣고 싶어요." "나오세요"는 내가 해야하는 문제해결입니다. 상대가 나와야 이 상황이 종결되고 내가 안심(철수)할 수 있으니까요. 하지만 이것은 상대가 듣고 싶은 말이 아닙니다. 그날 다행히 자살을 하지 않더라도, 이 대화는 자살을 시도하려던 사람에게 결코 도움이 되는 말이 아니지요. 마음의 문을 꽉 닫고 있거나 감정이 격앙되고, 흥분한 사람 앞에서 이렇게 말을 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. ​ 하지만 사람을 살리는 대화의 핵심은,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려고 노력하는 것, 왜 그런 감정을 느끼는지 궁금해하고 들어보고자 하는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하면 됩니다.


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기 ​ 모든 자살예방 원칙의 첫번째는 바로 "지금 너무 힘들어서 자살을 생각하고 계시나요?" 라고 직접적으로, 분명하게 '자살' 의사를 묻는 것입니다. ​ "혹시 극단적인 생각을 하는 거야? 이상한 생각하는 거 아니지? 나쁜 생각하는 거 아니지?"라는 말도 권장되지 않습니다. 직접적으로 물어보세요. "자살을 생각하고 있어?" 라고요. ​ 우리 사회는 자살률 1위 국가임에도 불구하고, 수많은 자살 유족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, 여전히 '자살'을 터부시하고 금기 단어로 입에 쉽게 올릴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. 그래서 이렇게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에게 '자살'이란 단어를 직접 말한다는 게 되려 더 자극을 하는 것 아닐까?라고 걱정을 하시기도 하는데요. ​ 왜 직접적으로 자살 의사를 물어봐야 할까요? ​ 자살을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은 자살과 죽음을 동일시하고 인식하고 있기보다는, 자살을 고통을 이제 끝낼 수 있는, 하나의 문제해결 방법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. ​ 따라서 이렇게 '너 힘들어서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 거니?' 라고 물어보면 질문을 받은 사람은 자살과 죽음이 연결되면서 본인 스스로 비로소 죽음에 대한 위험성을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. 이 질문은 그렇게 자살은 곧 죽음임을 상기시킨다. 자살하려는 사람은 이걸 죽음이라고 생각하는 게 아니라 하나의 문제 해결 방법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. 죽고 싶어서가 아니라 이 문제와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생각인 것이지요. '자살'과 '죽음'을 별도로 생각해야 합니다.


★이미 가까운 사람이 자살을 시도했을 때, 그들을 잘 돕는 방법(+해서는 안 되는 말)

https://blog.naver.com/jangeunha_linda/223057787282

다른 자살 생존자, 자살 유족들이 함께 연대하고 위로하는 커뮤니티, 이들과 연결되어 소통하고 싶다면 네이버 카페 <코코넛 커뮤니티>에 방문해보세요! https://cafe.naver.com/mentalhealthkorea


조회수 1회댓글 0개
bottom of page